통합검색
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정보의 검색결과 입니다.

전문자료 네이버 검색결과 NAVER OpenAPI

The Multtae or Tide System in Korea: Folk Classification, Regional Variations, and Early Descriptions by Late Chosun Silhak Scholars
Folk Classification of Tides in a Day -An Ethnographic Study on the Cultural Knowledge of Tidal Currents in Gomso Bay- 이 글은 서
Folk Classification of Tides in a Day -An Ethnographic Study on the Cultural Knowledge of Tidal Currents in Gomso Bay-
Tide and Time: Korean Fishermen's Traditional Knowledge of Multtae in Gomso Bay 조석은 어민들의 시간 관념과 생활방식에
Diversity in the Use of Tide Times, Confusion of Knowledge, and Fishermen’s Adaptation 본 연구에서는 조류의 변화를 인식
(A)Study on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ater Time(Multte) 본 연구는 물때에 따른 교통특성을 분석하
Folk Knowledge of Current and ‘Mudae’ in the East Sea-The Comparative Perspective of ‘Multtae’ in the West Sea- 삼면이
Tide and Time: Korean Fishermen"s Traditional Knowledge of Multtae in Gomso Bay 조석은 어민들의 시간 관념과 생활방식에
A Study on the Use of the Lunar Principle of MULDAE as a Predictor of Tidal Phenomenon
The Long-durability of Folk-science in the `mulddae`
The Long-durability of Folk-science in the 'mulddae'
The Long-durability of Folk-science in the "mulddae"
한국에서 어민들은 서수형 조석 역법 체계를 사용해왔다. 그들은 사리와 조금 주기에 있는 15일의 날
접근하는 어군을 기다려서 어획하는 연안의 정치망과 같은 고정식 어구는 지리적인 여건과 지형적인
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