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이다. 성전환을 하며, 시각, 청각, 후각이 예민하다. 낚시 대상어로 인기있는 어종이다. 도미류 중에서 가장 검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, 《자산어보》에는 흑조, 일본
|
도미에 각종 고명을 얹고 양념해 찐 도미찜은 손님상에 올리는 일품요리가 됩니다. 일품요리의 주인공 감성돔을 알아봅니다. [ 1. 기본정보] · 구입요령 : 등쪽은 금속 광택을 띤 회흑색이고, 배쪽
|
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. [내용] 감성돔은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홋카이도 이남,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. 학명은 Acanthopagrus schlegeli이다. 전장은 40∼60㎝이다. 몸과 머리는 좌우로 납작하며 체
|
감성돔과에 속하는 바다물고기. 몸길이는 45cm 가량으로 타원형이며 등쪽이 솟아 있고, 몸색깔은 회흑색이며 배쪽은 담색임.
|
|
도밋과(Sparidae)의 바닷물고기(Acanthopagrus schlegeli). 몸길이는 40센티미터 정도이고 타원형이며 은빛을 띤 푸른색 바탕에 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. 주둥이가 뾰족하고 등 쪽이 솟아 있으며 특히 여름철
|
어류의 일종으로 학명은 Acanthopagrus schlegeli.
|
[특징] 몸 빛깔은 금속 광택을 띤 회흑색으로 배쪽은 연하다. 몸은 타원형으로 측편하며, 주둥이는 약간 돌출한다. 양 턱의 앞쪽에는 각각 3쌍의 앞니 모양의 송곳니가 있고, 그 뒤쪽에는 어금니가
|
[생태] 외모의 최대 특징은 발달된 지느러미인데, 학명에 나타나는 감성돔속(屬)의 라틴어 명칭 Acanthopagrus은 발달되어 있는 지느러미의 가시에서 유래된 것이다. 특히 뒷지느러미의 제2가시가 크게
|
체형은 측편된 타원형으로 전형적인 돔이며 금속성 광택을 가진 흑회색, 은회색을 띤다. 양 턱에는 3쌍의 송곳니가 있으며 뒤쪽으로 어금니가 발달한다. 등·뒷지느러미에는 각각 11~12개, 3개의 강
|
[개요] 몸길이는 40cm정도이며 성전환을 한다. 시각, 후각, 청각이 잘 발달되어 있다. 몸 색깔은 청색 바탕에 불분명한 암회색 가로 무늬가 있다. 치어는 내만이나 연안의 바위지역에 서식하고 강 하
|
[생태] 가을철 강 하구나 얕은 여밭에서 루어에 종종 낚인다. 일본에선 본격적인 루어낚시 어종으로 개발돼 있지만 우리나라에선 시도 단계에 있다.
|
우리나라 물고기에는 ‘돔’자 항렬이 많다. 여기에서 ‘돔’은 가시지느러미를 의미한다. 그러니 ‘돔’자 항렬을 쓰는 물고기는 가시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. ‘돔’ 자 항렬을 사
|
도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. [내용] 돔이라고도 한다. 우리나라 연해에 분포하는 도미의 종류로는 참돔·감성돔·청돔·새눈치·황돔·붉돔·녹줄돔·실붉돔 등이 있다. 도미류를 대표하는
|
1. 성별이 바뀌는 물고기 2. 흰동가리 3. 감성돔 4. 리본 장어. 우리는 엄마 뱃속에서 성별이 결정되어 태어나죠? 한번 남자는 영원한 남자, 한번 여자는 영원한 여자~ 그런데, 물고기 중에는 그렇지
|
불린 찹쌀ㆍ멥쌀을 참기름에 볶다가 감성돔을 끓인 국물과 감성돔살을 넣고 푹 끓여 쌀알이 퍼지면 다진 당근ㆍ마늘을 넣고 끓이다가 소금 간을 하여 송송 썬 파와 황백지단채를 고명으로 얹은 것
|
[감성과 지성을 겸비한 '바닷고기의 제왕'] 감성돔은 우리나라 바다낚시를 대표하는 어종이다. 동서남해 전역에 서식하고, 사계절에 걸쳐 낚이는 바닷고기는 감성돔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
|
감성돔은 손맛을 즐길 줄 아는 낚시꾼들 사이에서는 한번쯤 욕심을 내 잡아보고 싶은 어종이다. 특히, 한려해상국립공원 중심부의 맑은 바닷물과 빠른 조류의 흐름 속에서 더욱 힘있는 사천의 감
|
우리나라 갯바위낚시의 최고 묘미를 꼽는다면 감성돔 찌낚시가 될 것이다. 물론 견해가 다를 수도 있지만 동호인 숫자 측면에서 보면 단연 1위임에 틀림없다. 섬세한 채비와 기법, 까다로운 과정을
|
서해남부와 남해안 지역의 많은 양식장 주변에서는 선상 던질낚시로 감성돔을 노린다. 오늘날의 구멍찌 낚시가 유행하기 이전의 감성돔낚시는 던질낚시가 대세를 이뤘다. 이후 구멍찌 낚시의 유
|